2023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방법 및 혜택 총정리

부모님과 아들, 애기가 있는 사진

요즘 같은 저출산 시대에 정부에서는 출산한 가정에 많은 혜택과 지원을 주고 있는데 애 보기도 힘든데 일일이 찾아서 신청하기란 어렵기에 이 많은 종류의 혜택을 한꺼번에 신청할 수 있는 2023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 방법과 혜택을 전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3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란?

2023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는 출산 후에 아기의 양육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 많은 혜택을 지원하는데 양육수당, 아동 수당이 대표적이며 그 외에도 정말 많은 종류의 혜택을 주고 있으며 살고 계신 각 지자체에서 별도로 지원되는 혜택들이 많습니다. 이 많은 혜택들은 신청을 하셔야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하나하나 찾아서 신청하기가 너무 어렵고 힘들어서 편리하게 한번에 모든 신청을 해주는 서비스 입니다.

2024년부터 부모급여가 인상되어 0세는 100만원, 1세는 50만원의 지원금을 받게 됩니다. 부모급여만 별도로 신청해야만 하는 가구는 아랫글에 신청방법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 신청자격은 산모나 배우자가 신청하면 됩니다.

소득 기준이나 재산요건을 살펴보지 않고 출산한 가정이면 모두 지원이 됩니다. 출산자 본인(산모)이나 배우자가 신청 자격이 됩니다. 원스톱 서비스에서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 내용은 아래 표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 전국 공통으로 지원하는 혜택

1. 부모 급여8. 첫만남 이용권
2. 양육 수당9. 출산가구 전기료 경감
3. 아동 수당10. 다자녀 전기료 경감
4. 해산 급여11. 다자녀 도시가스료 경감
5. 여성 장애인 출산 비용지원12. 다자녀 지역난방비 경감
6.저소득층 귀저기, 조제분유지원13. KTX 다자녀 할인
7. SRT 다자녀 가족할인


■ 지자체 별로 지원하는 혜택

지자체 별로 지원하는 혜택은 아래 내용과 다를 수도 있으니 전화로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시,도 출산 지원금6. 시,군,구 출산 지원금
2. 출산용품 지원7. 다자녀 출산 축하
3. 다자녀 가족사랑카드 발급8. 다자녀 차량용 스티커 발급
4. 유축기 대여 서비스9. 산후 모유 수유 교실
5. 5-TOUCH 건강교실


2. 2024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신청 방법


■ 방문신청은 출생자의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구비서류를 준비하여 신청하면 됩니다.

방문 신청은 출생자의 읍, 면, 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하고 제출하시면 됩니다. 구비서류는 산모나 배우자의 신분증과 공공요금 감면을 위해서 전기료, 가스비, 수도세 같은 고지서에 적혀있는 고객 번호를 메모하셔서 가져가시면 됩니다.

신청 완료 후 공공요금 감면은 다음 달 고지서부터 감면이 적용되어서 발행됩니다.


■ 온라인 신청은 정부24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가능합니다.

(STEP 1)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 후 로그인, 로그인시 본인인증이 필요한데 공인인증서나 간편인증으로 가능합니다.

(STEP2) 원스톱 서비스 선택 후 행복출산 메뉴를 클릭합니다.

(STEP3) 로그인, 로그인시 본인인증이 필요한데 공인인증서나 간편인증으로 가능합니다.

(STEP4) 신청서 작성 및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동의 한 후 민원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신청이 완료 됩니다.

·